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2

종부위양법 천자수모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1403015_003 조선왕조실록○召詳定所提調孟思誠、權軫、許稠、鄭招等議曰: "予卽位以來, 常以不改祖宗成憲爲心, 如有不得已之事, 屢有更改, 然奴婢之事, 未嘗更改, 但公私婢嫁良夫所生從良之事, 則大臣多言其不可, 而sillok.history.go.krhttps://sillok.history.go.kr/id/kda_11403025_002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55권, 세종 14년 3월 25일 갑신 2번째기사 1432년 명 선덕(宣德) 7년 상정소 제조 맹사성·권진 등을 불러 의논하다sillok.history.go.kr태종께서 세우신從父爲良法 종부위양법 2025. 9. 26.
폭발 https://youtube.com/shorts/9TDe3R6GmbI?si=shApwWy0pi8OrXlJ 2025. 9. 9.
이병도는 왜, 금서룡과 불화가 있었으며 이병도는 왜, 금서룡과 불화가 있었으며조선사편수회에서 왜 보수도 받지않고 일했을까?이어령의 7촌 이병도이병도 - 나무위키 https://share.google/tTw87VzdUojwqQlRN 이병도''우리의 최고 정신은 개인이 국가나 민족을 떠나 존재의 의의가 없고 항상 국가와 민족의 통일 발전 가운데 살고namu.wiki한성사범학교부속보통학교와 보광학교, 중동학교,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하고 와세다대학에서 사학 및 사회학을 전공하였다.그는 처음에 서양사를 전공하려 했으나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1873~1961)[16], 요시다 도고(吉田東伍, 1864~1918)의 영향으로 동양사, 특히 한국사로 방향을 틀었다. 이때 그를 지도한 교수는 일본 실증사학의 대부 쓰다 소키치였는데, .. 2025. 9. 6.
전기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는 1887년 3월 6일, 고종이 거처하던 경복궁 건청궁에서 전등불을 밝히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것은 궁중을 중심으로 전기를 도입한 왕실 주도 사업으로, 이후 1899년 종로에 민간 전등이 켜지면서 민간 차원으로 전기가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그럼 아래 사진은 뭘까?https://pin.it/64A87vOtp 1884년 조선인천 세관 로버트 네프 콜렉션https://pin.it/2F5j6vk8e Pinterest요리법, 집 꾸미기 아이디어, 영감을 주는 스타일 등 시도해 볼 만한 아이디어를 찾아서 저장하세요.kr.pinterest.com 2025. 9. 5.
태종 때, 기린이 들에 나온것을 잡아다 길렀다. 정사를 보았다. 임금이 대언(代言)들에게 이르기를,"참판(參判) 이명덕(李明德)이 의주(義州)로부터 돌아와서 말하기를, ‘창성(昌盛)이 흑호(黑狐)와 백안(白雁)을 보고 이르기를, 「이것은 모두 상서로운 물건이다. 천하에서 반드시 와서 하례할 것이다.」 하였다.’ 하는데, 내가 역대의 일을 고찰하니, 흑호·백안·백치(白雉)는 모두가 상서로운 물건이 아니다. 주나라 때에도 흑호를 바친 바 있고, 수(隋)나라 양제(煬帝) 때에도 흑호를 바친 적이 있다. 또 기린(麒麟)도 성창한 시대에 나오기도 하고, 혹은 쇠잔한 시대에 나오기도 하였다. 이것으로 본다면 상서라는 것은 족히 믿을 것이 못된다. 그러나 윤봉(尹鳳)의 말에 의하면 지금 황제께서 상서를 너무 좋아하여 백서(白鼠)·백토(白兎)까지도 모두 길들여 기르.. 2025. 9. 5.
수도는 예전부터 2개(양경兩京) 였다. https://sillok.history.go.kr/id/kza_13905006_002 詔曰: "平壤。 箕聖千年之故都也, 禮義文明, 玆焉肇創。 是雖出於人事, 而其地靈亦可以論矣。 周有東、西京, 明有南、北京。 至若近日, 外國亦建兩京。 且考勝國之史, 特置西京於平壤與松京爲兩京。 皆所以鞏固邦國, 期於磐泰者也。 朕嘗念此者久矣, 適有重臣之疏論。 肆將於平壤置行宮, 稱曰西京, 以爲國家萬年鞏固之衛。 況其該地人民之所咸願樂趨者乎? 此是莫重莫大之役也, 令政府諸臣與該道臣, 爛商會議以入。" 詔(조)曰(왈):平(평)壤(양)。 箕(기)聖(성)千(천)年(년)之(지)故(고)都(도)也(야), 禮(례)義(의)文(문)明(명), 茲(자)焉(언)肇(조)創(창)。 是(시)雖(수)出(출)於(어)人(인)事(사), 而(이)其(기)地(지)靈(령)亦(역)可.. 2025.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