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6

안남국 = 베트남 정조실록31권, 정조 14년 10월 22일 기사 1번째기사 1790년 皇帝在於樓船上層, 諸閣老、安南國王及臣等, 皆坐下層矣。황제 재어 누선 상층, 제각로·안남국왕 급 신등, 개 좌 하층의. 여기서 황제는 영조를 말함이다. : 황제께서는 누선(다층 누각형 배)의 윗층에 계셨고, 여러 대신들, 안남국왕과 신하들 등은 모두 아래층에 앉아 있었습니다. 상이 이르기를,"정대광명전(正大光明殿)에서 연회를 열었을 때 황제가 과연 친히 술을 부어 경 등에게 주던가?" 정종이 물음. https://sillok.history.go.kr/id/kva_11410022_001 안남국은 베트남이다. 굳이 언급하자면 안남국(베트남)이 우리에게 하던 건 이러하다. 숙종실록20권, 숙종 15년 2월 13일 신해 1번째기사 168.. 2025. 8. 7.
선한 시작의 싹이 움트고, 봄바람이 만물을 무성하게 하듯 정조실록46권, 정조 21년 6월 21일 경인 2번째기사 1797년 승지 정약용(丁若鏞)이 상소하기를,"신이 이른바 서양의 사설(邪說)에 대하여 일찍이 그 글을 보고 기뻐하면서 사모하였고 거론하며 여러 사람에게 자랑하였으니,... (생략)臣於所謂西洋邪說, 嘗觀其書矣, 嘗欣然悅慕矣, 嘗擧而夸諸人矣 하면서 지난날 정약용이 서양 사설을 읽고 잘못된 생각을 하였으니 "신의 직임을 체임하시고 이어서 내쫓으소서." 하자 '정조' 께서 아래와 같이 사직하지 말라 했다.그런데 그 글귀가 참 아름답다.' 한번 보자. "善端之萠, 春噓物茁, 滿紙自列, 言足感聽。 勿辭。" https://sillok.history.go.kr/id/kva_12106021_002 善端之萠 (선단지몽)→ "선한 시작의 싹이 움트고,"‘善端.. 2025. 8. 7.
일본과 왜구 실록을 보면 일본과 왜구는 엄격히 나누어 정확히 기록해 놓았다. 일본이 왜구 아니었나? 결론은 일본과 왜구를 분명 다르다. 아래 태조때부터 수없이(총 1,460건)의 기록이 있다. https://sillok.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 1. 태조실록 1권, 총서 1번째기사 / 태조 이성계 선대의 가계. 목조 이안사가 전주에서 삼척·의주를 거쳐 알동에 정착하다70여 가(家)나 되었다. 일찍이 배 15척을 만들어 왜구(倭寇)를 방비했는데, 조금 후에 원(元)나라 야굴대왕(也窟大王) 이 군사를 거느리고 여러 고을을 침략하니, 목조는 두타 산성(頭陀山城)을 지켜서 난리를 피하였다. 때마침 전일의 산성 별감(山城別監)이 새로 안렴사(按廉使)에 임명되어 또 장차 이르.. 2025. 8. 7.
억불숭유? 불교를 억제하고 유교를 숭상? https://namu.wiki/w/%EC%88%AD%EC%9C%A0%EC%96%B5%EB%B6%88 숭유억불에 대해 검색해 봤다.숭유억불이란, 조선시대? 때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압했다는 말이다.나무 위키 자료 등 모든 곳에서 이렇게 말한다. -숭유억불(崇儒抑佛)은 불교 교단의 세력을 강제로 축소시키고 약하게 유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조선의 종교정책이었다. 숭유(유교를 숭상함)라는 단어가 있지만, 포인트는 억불에 있다. 억불정책(抑佛政策) 또는 배불정책(排佛政策)이라고도 한다.조선을 세운 이성계는 개인적으로 불교에 매우 호의적인 사람이었다. 일단 불교가 국교였던 고려의 영향을 받은 것은 물론이고, 특히 고려의 장수 출신이라서 별다른 공부 없이도 열심히만 살면 누구든지 부처가 되어 복을 누릴 수 있다는.. 2025. 8. 7.
국호는 그대로 '고려'를 그대로 따르다. " 執之彌固, 予俯循輿情, 勉卽王位。 國號仍舊爲高麗; 儀章法制, 一依前朝故事。집지미고, 여부순여정, 면즉왕위. 국호잉구위고려; 의장법제, 일의전조고사.나는 여러 사람의 심정에 굽혀 따라, 마지못하여 왕위에 오르고, 나라 이름은 그전대로 고려(高麗)라 하고, 의장(儀章)과 법제(法制)는 한결같이 고려의 고사(故事)에 의거하게 한다. 구글 Ai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 執之彌固 (집지미고): (나라의) 주권을 잡는 것을 더욱 굳건히 하고. * 予俯循輿情 (여부순여정): 나는 뭇사람의 뜻에 굽어 따르며. * 勉卽王位 (면즉왕위): 애써 왕위에 올랐다. * 國號仍舊爲高麗 (국호잉구위고려): 국호는 예전과 같이 고려로 하고. * 儀章法制 (의장법제): 의식과 제도, 법규는. * 一依前朝故事 (일의전조고사): .. 2025. 8. 3.
세계 유일, 종묘제례. 세계 유일의 종묘. 오직 '천자'만이 제사를 지내는 '신주'를 모신 곳. 종묘. 종묘와 종묘 영녕전의 전도 및 종묘에서 시행되는 의식과 설찬(設饌), 반차(班次) 등을 그림으로 그리고 해설을 글로 표현한 총 8첩으로 구성된 병풍으로, 1860년대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하지만 지금의 종묘와 아래 제작한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과 확연한 차이가 있다. 아래 8폭 병풍을 모두 보고 다운받을 수 있다.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 Encyves Wiki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대표명칭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한자표기 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주제 제례 제작연대 19세기 구성 총 8폭 크기 전체 200 × 515cm/ 화면 125 × 504cm 소dh.aks.ac.kr 2025.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