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종실록77권, 세종 19년 5월 20일 기유 4번째기사 1437년 명 정통(正統) 1437년 명 정통(正統) 2년
야인 토벌의 계책을 세우도록 김종서에게 명하다
이 기사에는 '적벽'강이 나와 조사하던 중 한 문구를 발견했다.
"두만강 남쪽은 기름진 들이 수백 리나 되어 농사를 지으면 곡식이 반드시 무성하고 짐승을 먹이면 마소가 반드시 살찔 것이니, 백성들이 영구히 살 수 있는 집을 세울 만한 땅이다."
且豆滿江之南, 沃野數百餘里, 耕則禾稼必盛, 牧則牛馬必肥, 可爲生民永建乃家之地。
조선왕조실록 : 원본 보기
세종실록77권, 세종 19년 5월 20일 기유 4번째기사 1437년 명 정통(正統) 1437년 명 정통(正統) 2년 야인 토벌의 계책을 세우도록 김종서에게 명하다
sillok.history.go.kr
100리만 해도 56km 이다.
두만강 남쪽에 기름진 땅이 수백리가 되는 곳은 눈 씻고 봐도 없다.
두만강 남쪽은 죄다 산이다.
또한, 농사를 지으면 곡식이 반드시 무성할 수가 없다.

한반도 정도의 크기에서 말하는 두만강이 아니다.
세종께서는 세계(조선)의 안녕을 위해 야인의 토벌하라 김종서 장군에게 계책을 세우라 명하셨다.
'세종 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천체 운행의 규칙성과 시간을 측정했던 민족 (0) | 2025.04.14 |
|---|---|
| 세계 언어의 뿌리 (0) | 2025.04.14 |
| 권총 최초 제작년도는 1437년 (0) | 2025.04.12 |
| 천상열차분야지도 天象列次分野之圖 刻石 (0) | 2025.04.10 |
| 세종 때 밤섬에 뽕나무 8천 2백 80주.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