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6 거북선은 고려 때도 있었다. 귀선은 거북선을 말한다. 거북선[龜船] : 거북 모양으로 생긴 전함(戰艦). 고려 때부터 있었던 듯하며 1592년 임진란(壬辰亂) 때 이순신(李舜臣)이 거북선으로 왜적을 무찔렀음. 실록에는 태종 때 부터 귀선에 관한 기록이 나와있다. 태종실록25권, 태종 13년 2월 5일 갑인 1번째기사 1413년 명 영락(永樂) 11년통제원 남교에서 머무르다. 임진도를 지나다가 거북선과 왜선이 싸우는 것을 구경하다https://sillok.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 태종께서 거북선과 왜선이 싸우는 것을 세자와 함께 관망하였다. 아래 원문을 띄운다. 천천히 읽어보시길 통제원(通濟院) 남교(南郊)에서 머물렀다. 이날 아침에 세자에게 명하여 조정(朝廷)으로 돌아가도록 하니.. 2025. 4. 28. 세종 때 부터 해일이 꾸준히 일어나는 서해 https://sillok.history.go.kr/id/kpa_10707026_003 조선왕조실록인조실록21권, 인조 7년 7월 26일 기유 3번째기사 1629년 명 숭정(崇禎) 2년 공청도에 해일이 일어나고 큰 바람이 불어 벼가 모두 상하다sillok.history.go.kr 인조실록21권, 인조 7년 7월 26일 기유 3번째기사 1629년 명 숭정(崇禎) 2년공청도에 해일이 일어나고 큰 바람이 불어 벼가 모두 상하다 공청도(公淸道)의 천안(天安)·신창(新昌) 등 지역에 해일(海溢)이 일어나고 큰바람이 불어 벼가 모두 상했다. 청주(淸州) 지역에는 큰 바람이 불어 곡식이 손상되었다. 내륙 지방인 천안에 해일이 일어나? 이 뿐만 아니다. 해일에 관한 내용이 세종 때 부터 168건의 기록이 있다. ht.. 2025. 4. 27. 태자의 아들을 참으로 따뜻하게 황태손으로 세우다. 고려의 사은사(謝恩使)였던 영복군(永福君) 왕격(王鬲)과 정당 문학(政堂文學) 권중화(權仲和)가 중국 서울로부터 돌아와서 말하였다."황태자가 4월 25일에 세상을 떠나니, 황제가 황태자의 아들 윤문(允炆)을 세워 황태손(皇太孫)으로 삼았습니다." ○乙亥前朝謝恩使永福君王鬲政堂文學權仲和回自京師言 "皇太子以四月二十五日薨, 帝立太子之子允炆爲皇太孫。(을해전조사은사영덕군왕정당문학권중화회자경사언황태자이사월이십오훙 제립태자지자윤문위황태자。) 前朝(전조) 아침 전謝恩使(사은사) 사은사는 절이 아니다. 감사의 뜻을 태조께 알리기 위해 보낸 사절이라 보면 된다.回自京師 회자경사 : 돌아오다 스스로 경사에서 경사라고 써 있는데. 그런데 중국서울로부터 돌아오다는 말이 어디 있는가? 어디에도 없다.왜 원문 그대로 해석하지 않고 .. 2025. 4. 26. 영복군왕을 두어 화령부를 막게하다 태조실록2권, 태조 1년 9월 3일 신사 3번째기사 1392년 명 홍무(洪武) 1392년 명 홍무(洪武) 25년○置永福君王鬲于和寧府。영복군 왕격을 화령부에 안치하다이게 어떻게 영복군 왕격인가? 국사편찬위원회 가 한자를 모르는건지. 아니면 다른 속셈이 있는건지.○置永福君王鬲于和寧府。치영복군왕격우화령부'영복군왕을 두어 화령부를 막게하다.'정도로 해석해야하는게 아닌가.置 둘 치 鬲于 격우. 라고 분명히 써 있는데 왜 이걸 쏙 빼놓고 이야기하는지 의문이다.막을 격 鬲행할게할 우 于우리 태조가 화령부에 왕을 보낸다는 게 앞뒤가 안 맞아서?https://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aa_10109003_003&type=view&reSearchWords=%ED%99%94%.. 2025. 4. 26. 1882년에 외국의 화폐를 통용 고종실록19권, 고종 19년 9월 14일 정유 4번째기사 1882년 조선 개국(開國) 491년외국의 화폐를 통용하도록 정영조가 상소하다출신(出身) 정영조(鄭暎朝)가 상소하여, 이웃 나라의 화폐를 똑같이 통용하면 기차·화차(火車)·기계·전선(電線)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달하니, 비답하기를,"여러 나라의 화폐를 통용하는 것도 원래 이치가 있는 것이니, 경중을 보아가면서 쓰는 것이 좋겠다."하였다.1888년에 현재 미국에 있는 화차를 연필로 그린 그림을 감상해 보자.https://saarm.tistory.com/m/36 2025. 4. 26. 1888년 미국의 풍경을 담은 연필 그림 https://youtu.be/HIhOeT_Pnik?si=KXlUMS8NPqn0T_NVhttps://naver.me/G8s13hx7 고종 19년 1882년에 화차에 관한 기록https://sillok.history.go.kr/id/kza_11909014_004 조선왕조실록고종실록19권, 고종 19년 9월 14일 정유 4번째기사 1882년 조선 개국(開國) 491년 외국의 화폐를 통용하도록 정영조가 상소하다sillok.history.go.kr 조선왕조실록고종실록19권, 고종 19년 9월 14일 정유 4번째기사 1882년 조선 개국(開國) 491년 외국의 화폐를 통용하도록 정영조가 상소하다sillok.history.go.kr여기 나온 시사만화는 압제에 대한 투쟁 .. 2025. 4. 2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5 다음 반응형